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인 연금 찾을 때 핵심 정보! 수령 연차, 연간 수령 한도 총정리

by Rich Sage 2025. 7. 18.
반응형

요즘 노후 준비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미리미리 개인연금을 준비해 두신 분들도 많으시죠? 그런데 막상 연금을 수령할 시점이 되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받아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수령연차’와 ‘연간 수령한도’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어야 불이익 없이 똑똑하게 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오늘은 개인연금 수령 시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들을 알려드릴게요.

 

개인연금 수령연차, 연간 수령한도 총정리 이미지

 

 

1. ‘수령연차’란?

연금은 한 번 받기 시작하면 매년 정기적으로 나오게 되는데요. 이때 중요한 게 바로 ‘수령연차’ 즉 연금을 받기 시작한 해부터 몇 번째 해인지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2025년에 연금을 받기 시작했다면,
 → 2025년이 1연차,
 → 2026년이 2연차,
 → 2027년이 3연차 … 이런 식이에요.

 

이게 왜 중요하냐면 연금을 몇 번째 해에 받느냐에 따라 세금 계산이나 수령 가능한 금액이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연금저축처럼 세액공제를 받았던 상품은 수령연차에 따라 매년 세금 없이 받을 수 있는 한도가 정해져 있어요. 이 한도를 넘어서 받게 되면 추가 세금이 붙을 수 있거든요.

 

1) 연금 수령한도 계산 공식

 
연금 수령한도 계산식 : 연금계좌 평가액 / (11 - 수령연차) × (120/100)

 

이 공식을 처음 보면 좀 복잡해 보이지만 쉽게 설명드릴게요.

 

연금계좌 평가액은 내가 그 시점에 가지고 있는 연금 자산의 총액이에요. (원금 + 수익 포함)

 

(11 - 수령연차)는 연차가 늘어날수록 수령한도가 늘어나게 되는 거죠.

 

120/100(1.2)는 정부가 정한 보정치로 한도를 조금 더 넉넉하게 주기 위한 20% 상향 조정이에요.

 

2) 예시로 살펴보기

연금계좌에 1억 원이 있다고 가정하고 계산을 해볼게요.

 

1연차 1억 ÷ (11 - 1) × 1.2 = 1억 ÷ 10 × 1.2 1,200만 원
2연차 1억 ÷ (11 - 2) × 1.2 = 1억 ÷ 9 × 1.2 약 1,333만 원
5연차 1억 ÷ (11 - 5) × 1.2 = 1억 ÷ 6 × 1.2 약 2,000만 원
10연차 1억 ÷ (11 - 10) × 1.2 = 1억 ÷ 1 × 1.2 1억 2천만 원
 

 

수령연차가 높아질수록 분모가 작아지므로 수령 가능한 연간 한도는 커지는데요.

 

어때요, 간단하죠?
요약하면 연금을 일찍 받기 시작할수록 수령 가능한 금액이 적고 해가 갈수록 한도가 늘어든다는 점이 핵심이에요.

 

픽사베이

 

 

 2.  ‘ 연간 수령한도’란? 

개인연금에서 또 중요한 개념이 ‘연간 수령한도’! 즉 세금 없이 받을 수 있는 연금의 최대 금액이에요.

 

정부에서는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해 개인연금 수령 시 일정 금액까지는 세금을 면제해주고 있는데요.

 

연간 최대 1,500만 원까지 비과세이고

 → 연 1,500만 원을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 기타 소득세가 붙습니다.

 

즉, 연금은 무조건 다 세금 없이 받는 게 아니라, 연간 수령한도 안에서 받을 때만 비과세가 적용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만약 매년 수령금액이 한도를 초과한다면?
 →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으니 연금을 분산해서 수령하거나, 수령기간을 늘리는 전략도 필요해요.

 

 

 3. 연금을 받을 때 확인 순서

내가 가진 연금이 어떤 유형인지 확인
 → 연금저축보험? 연금펀드? 세제 비적격 상품? 등 상품유형을 먼저 확인하세요

 

언제부터 수령을 시작할 건지 결정
 → 연금 수령 시작 연도를 기준으로 수령연차가 정해져요.

 

연간 얼마나 받을지 금액 설정
 → 연금 수령한도 이내이면서 연간 수령한도 안에서 설정하면 세금 부담이 없지만 연금수령 한도 이내라도 연간 수령한도인 1,500만 원을 초과하면 세금 부담이 있으니 유의해야 해요.

 

세금 부과 여부 확인
 → 비과세인지, 연금소득세 적용인지, 기타 소득세 적용인지 파악해야 해요

 

 

픽사베이

 

 

4. 마무리하며

노후를 위해 열심히 준비해 온 개인연금! 괜히 잘못 수령해서 세금 더 내거나 손해 보는 일은 없어야겠죠?


오늘 알려드린 ‘수령연차’와 ‘연간 수령한도’, 그리고 수령한도 계산식까지 꼼꼼히 확인하신다면 앞으로 연금 수령 시에도 당황하지 않고 훨씬 더 유리하게, 효율적으로 자산을 관리하실 수 있을 거예요.

 

특히, 여러 개의 연금 상품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수령 시기를 조금씩 나눠서 전략적으로 가져가면 세금도 줄이고 연금도 오래도록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된답니다.

 

연금은 단순히 ‘받는 돈’이 아니라 앞으로의 삶을 꾸려나갈 ‘생활의 기반’이 되는 소중한 자산입니다.


꼭! 본인의 연금 상품 유형, 수령 시기, 수령 금액을 다시 한번 점검해 보시고 필요하다면 금융기관 또는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여유롭고 안정된 노후를 위해,
오늘도 내일도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입니다.

IRP계좌 ☞ https://richsage.co.kr/16

ISA계좌 ☞ https://richsage.co.kr/13

연금저축펀드 ☞ https://richsage.co.kr/14

연금저축 인출전략 https://richsage.co.kr/5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