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반도체 시장이 주목받고 있죠. 그중에서도 특히 낸드플래시는 스마트폰, SSD, AI 서버 등에서 필수로 쓰이는 저장용 반도체인데요. 오늘은 낸드플래시가 정확히 어떤 기술인지, 그리고 국내 기업들인 하나머티리얼즈·테스·티씨케이·솔브레인을 함께 알아볼게요.
1. 낸드플래시란?
낸드플래시는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인데요. 쉽게 말해, 전원을 꺼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메모리랍니다.
스마트폰 사진, 영상, 앱 데이터
노트북 SSD 저장공간
자율주행차의 데이터 기록 장치
이런 곳들에 모두 낸드플래시가 사용이 돼요.
반대로 DRAM은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죠. 그래서 DRAM은 작동 중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
낸드플래시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해요.
낸드플래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웨이퍼(실리콘 판)를 깎고, 코팅하고, 세척하고, 굽는 수백 가지 공정이 필요한데요. 이 모든 과정에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어요.
오늘 알아볼 기업은 바로 이런 낸드플래시 핵심 공정의 숨은 주역들이랍니다.
2. 하나머티리얼즈
키워드: 반도체 부품, 식각 공정, 실리콘 파츠, 삼성전자 협력사
하나머티리얼즈는 반도체 장비에 들어가는 실리콘 부품 전문기업인데요. 특히 식각(Etching)과 증착(Deposition) 공정에 쓰이는 내열성 부품을 만들어요.
이 부품들은 고온·고전압·플라즈마 환경에서도 버텨야 하기 때문에 정밀 가공 기술력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주요 고객: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요 제품: 실리콘, 세라믹, 쿼츠 파츠
한마디로 하나머티리얼즈는 낸드플래시 식각 공정의 기계 속 심장 역할을 하는 기업이랍니다.
3. 테스
키워드: 반도체 장비, 식각 장비, 세정 장비, 3D 낸드
테스는 반도체 제조 장비를 직접 만드는 기업인데요. 특히 식각(Etch)과 세정(Clean) 장비 분야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어요.
3D 낸드처럼 수백 층 구조에서는 아주 정밀하게 층을 깎아내야 하므로 식각 장비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주요 고객: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핵심 기술: 플라즈마 식각 기술
요약하면 테스는 낸드플래시의 미세 패턴을 조각하는 정밀 장비의 명장이라고 볼 수 있어요.
4. 티씨케이
키워드: SiC 히터, 반도체 열공정, 증착 공정
티씨케이는 반도체 장비용 히터(Heater)를 만드는 기업인데요. 그중에서도 SiC(실리콘 카바이드) 재질의 히터는
반도체 증착(CVD) 공정에서 웨이퍼를 고온으로 가열할 때 쓰인답니다.
특징: 내열성·내구성 탁월, 미세한 온도 제어 가능
주요 고객: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쉽게 말해서 티씨케이는 낸드플래시를 구워내는 오븐의 히터를 만드는 회사랍니다.
5. 솔브레인
키워드: 반도체 화학소재, 세정액, 식각액, 국산화
솔브레인은 반도체용 화학소재 전문기업인데요. 반도체를 씻고, 깎고, 코팅하는 데 필요한 식각액(Etchant), 세정액(Cleaner), 박막재 등을 만들어요.
강점: 초고순도 화학물질 제조 기술
주요 고객: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한마디로 솔브레인은 반도체를 깨끗하게 유지해 주는 화학 클리너 전문가랍니다.
6. 마무리하며
요즘 세상을 움직이는 기술들을 떠올려 보면 AI, 클라우드, 자율주행, 데이터센터… 모두 데이터 저장이 중심에 있는데요. 그 데이터를 안전하고 빠르게 담아내는 핵심이 바로 낸드플래시랍니다.
이 시장이 커질수록 그 안에서 작동하는 소재와 장비 기업들의 역할도 함께 커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앞으로 낸드플래시 산업은 단순히 메모리를 만드는 영역을 넘어서 국가 기술력과 산업 경쟁력을 이끄는 핵심 분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있어요.
그리고 그 흐름 속에서 하나머티리얼즈, 테스, 티씨케이, 솔브레인 같은 기업들의 기술력과 존재감은 더욱 빛나지 않을까 생각해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세요?
* 본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