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AI관련 뉴스 많이 보이죠?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회사들이 새로운 기술을 발표할 때마다 주가가 출렁이는데
직접 종목을 고르고 사고파는 건 부담스럽고 변동성도 커서 고민된다면 좋은 대안이 있는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 ETF에 대해 알아볼께요.
1. 기본 스펙 한눈에
운용사: KB자산운용 (국내 굴지의 ETF 운용사)
상장일: 2024년 10월 2일 (상장한 지 이제 1년 정도!)
총자산: 약 2,026억 원
순자산(AUM): 약 1,887억 원 (꾸준히 자금이 들어오고 있음)
구성 종목: 20종목, 미국 대표 AI 기업 위주
레버리지: 없음 (1배, 안정적)
이 ETF는 KEDI U.S. AI Value Chain 90% Participation + Daily Options라는 지수를 추종해요. 쉽게 말해 AI 산업 밸류체인에 속한 미국 주식 90% + 매일 콜옵션 판매로 추가 수익을 추구해요.
2. 어떤 기업들에 투자할까?
AI 밸류체인이라고 하면 막연할 수 있죠. 구성 종목을 보면 조금 더 감이 오겠죠.
1 | 오라클 (ORCL) | 15.38% |
2 | RISE 미국AI밸류체인TOP3Plus | 12.89% |
3 | 엔비디아 (NVDA) | 12.12% |
4 | 마이크로소프트 (MSFT) | 10.32% |
5 | 아리스타 네트웍스 (ANET) | 4.79% |
6 | 브로드컴 (AVGO) | 4.43% |
7 | 구글 (GOOGL) | 4.08% |
8 | AMD | 3.81% |
즉, AI 서버·클라우드·반도체·네트워크까지 AI 생태계 전반을 골고루 담고 있어요. "나 AI 기업에 투자하고 싶어!" 라고 할 때 떠올리는 대표 종목들은 거의 다 들어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3. 가장 큰 매력 = 배당
커버드콜 전략 덕분에 이 ETF는 배당수익률이 아주 높아요. 최근 1년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이 무려 16.39%입니다.
최근 1년 배당금: 1주당 2,089원
배당 지급 횟수: 연 8회 (거의 매월 배당 수준)
세후 배당: 배당소득세 15.4% 차감 후 입금
즉, 1,000만 원을 투자했다면 연 160만 원 정도의 배당을 받는 셈이에요.
(물론 주가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월급처럼 현금 흐름이 생기는 건 큰 장점이에요.)
4. 성과는 어땠을까?
지난 1년간 성과를 보면 꽤 인상적입니다.
총수익률: +57.62%
주가 상승: +41.23%
배당수익: +16.39%
즉, 주가 상승 + 배당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어요. 특히 급등장에서 커버드콜 ETF는 상승률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ETF는 AI 업종 강세 덕분에 주가 상승분도 꽤 챙겼어요. 물론 시기가 맞아서 그런 것 일수도 있지만요.
5. 마무리하며
RISE 미국AI밸류체인데일리고정커버드콜 ETF는 AI 산업 성장에 투자하면서 꾸준한 배당 수익까지 챙길 수 있는 상품이에요.
물론 커버드콜 전략 특성상 AI 주가가 급등할 때는 수익이 일부 제한될 수 있지만 배당으로 현금 흐름을 확보하면서 장기적으로 AI 성장 스토리를 함께 가져갈 수 있다는 점에서 꽤 매력적인 선택지라고 생각되네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