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달러 붕괴가 올까? 자산을 지키는 최고의 투자 전략은?

by Rich Sage 2025. 9. 5.
반응형

요즘 뉴스나 유튜브 보면 “미국 부채 폭탄”, “중국이 미국 국채 팔아치운다”, “달러의 시대 끝났다” 이런 말 자주 들리는데요. 듣고 있으면 괜히 불안해지면서 “진짜 달러가 무너지는 거 아냐?” 싶은데요. 오늘은 만약 미국 달러가 붕괴한다면 우리가 어떤 자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지 그리고 투자 전략은 어떻게 세워야 하는지 알아볼게요.

 

달러 붕괴 이미지

 

 

1. 달러, 지금 당장 무너질까?

먼저 데이터를 보면 세계 준비통화에서 달러 비중은 약 57.7%. 2000년대 초엔 70% 넘었는데 줄긴 했죠. 그래도 아직 1등은 달러예요.

 

중국이 미국 국채를 많이 줄이긴 했는데요. 2013년엔 1.3조 달러였는데 지금은 7천억 달러대. 하지만 일본, 영국, 다른 금융허브들이 여전히 큰 손이네요.

 

국제 결제에서 위안화 비중은 아직 2~3% 수준으로 달러·유로가 대부분을 차지해요. 달러 지수(DXY)는 올해 상반기 10% 넘게 빠지긴 했지만 역사적으로 늘 있던 등락 범위입니다.

 

결론은 달러의 지위가 조금씩 약해지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곧 무너진다”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해요. 아직은 ‘점진적인 변화’ 단계가 아닐까 싶어요.

 

 

2. 미국 주식 폭락?

많은 분들이 “달러 약해지면 미국 주식 망하는 거 아냐?” 이렇게 생각하시는데 꼭 그렇진 않을 수 있어요.

 

해외 매출이 많은 글로벌 기업들은 달러 약세가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환율 효과 덕분에 해외 이익이 커지거든요. 

 

반대로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원가 부담이 생겨 불리할 수 있답니다.

 

실제로 과거 분석 보면 달러가 1% 약세일 때 S&P500 기업 이익이 약 0.6% 늘어난다는 추정치도 있어요.

 

즉, 달러 약세가 온다고 해서 미국 주식이 전체적으로 폭락하는 건 아니고 누가 웃고 누가 울지는 갈린다는 겁니다.

픽사베이

 

3. 달러 리스크에 대비하면 좋은 자산들

달러가 약해질 가능성은 늘 있으니 ‘보험’ 같은 자산을 조금씩 준비해 두면 마음이 편하겠죠.

 

금(골드): 중앙은행들이 꾸준히 사들이는 대표적 안전자산.

 

원자재·에너지: 달러가 약해지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어요.

 

비(非) 달러 자산: 유로, 스위스프랑, 엔화 같은 다른 강세 통화.

 

해외 분산 투자: 미국 주식만이 아니라 유럽, 일본, 인도, 동남아 등으로 분산.

 

비트코인: 아직 변동성이 크긴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중앙은행이 찍어내는 돈과 반대로 움직이는 ‘디지털 금’ 역할을 일부 하고 있죠. 특히 젊은 투자자들 사이에선 달러 리스크 대비 자산으로 점점 자리 잡고 있어요.

 

 

4. 달러 붕괴가 원화(KRW)에 주는 영향

우리나라 경제는 수출에 많이 의존하는 만큼 대외 변수에 민감한데요.

 

달러만 약세이고 글로벌 리스크가 크지 않은 경우 → 원화는 강세로 갈 수 있어요. 수입물가도 내려가고, 한국 자산에 외국인 돈이 들어와요.

 

무역 갈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같이 오는 경우 → 달러가 약해도 원화가 같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올해 미국의 관세 정책 때문에 한국 경제도 압박을 받았다는 분석이 있었죠.

 

그래서 원화 투자자는 양쪽 가능성을 모두 대비해야 하는데요. 환헤지 전략, 달러·비달러 자산을 나눠 갖는 게 중요해요.

 

 

5. 달러 리스크 대비 포트폴리오 (예시)

사람마다 상황은 다르겠지만 참고로 이런 식 구성을 예시로 생각해 보았어요.

 

해외 주식 35%

미국 20%: 글로벌 대형주, 일부 환노출 / 일부 환헤지 ETF 섞기

비미국 15%: 유럽, 일본, 인도, 동남아 등 지역 분산

 

원화 자산 25%

한국 배당주·우량주 15%

원화 장기채 + 물가연동채 10%

 

실물·리소스 20%

금 10%

원자재 ETF나 에너지·광물 관련 우량주 10%

 

비트코인 5~10%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 기대. 다만 변동성이 크므로 작은 비중으로만.

 

현금·단기채 10~15%

원화 MMF + 비달러 현금(유로·스위스프랑 등) 반반 정도

 

중요한 건 “달러가 약세여도 강세여도 버틸 수 있게 균형을 맞추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요.

 

픽사베이

6. 마무리하며

 

달러는 여전히 세계 금융의 중심이지만 조금씩 변화가 진행 중이라고 생각해요. “달러 붕괴”라는 말은 과장된 면이 있지만 미국의 재정 신뢰가 흔들린다면 장기적으로 달러 약세 압력이 커질 수 있어요.

 

우리 개인 투자자는 겁먹기보다는 분산을 통해 달러 리스크에 자연스럽게 대비하는 게 답이 아닐까요?

 

금, 원자재, 비달러 자산, 비트코인 같은 걸 조금씩 섞어두면 마음이 훨씬 든든해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결국 투자의 본질은 “앞날을 100% 맞추기”가 아니라 어떤 일이 와도 버틸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두는 거라는 점 잊지 마세요.

 

 

 

반응형